洪 範 圖

홍범도 장군 이야기

홍범도장군관련뉴스

한창걸-한인 빨치산부대 만들어 “독립 유격전”

정기용기획국장

view : 5432

한인 빨치산부대 만들어 “독립 유격전”

[한겨레 2005-09-14 18:36]


[한겨레]
파르티잔스크. ‘빨치산의 도시’란 뜻으로, 태평양 연안을 따라 남북으로 뻗은 시호테알린산맥이 마지막 요동을 치는 곳이다.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차로 2시간 거리인 파르티잔스크의 풍광은 처음 찾은 한국인한테도 낯설지 않다. 떡갈나무로 덮인 해발 1천m 안팎의 산들은 강원도를, 거기에서 내려온 물길이 적시는 들판은 경기도를 떠올리게 한다. 19세기 중반 이후 기근과 폭정, 농민반란 끝에 러시아로 건너간 10만~20만명의 조선 농민들이 ‘기회의 땅’으로 삼은 곳 가운데 하나가 당시 수청()으로 불린 이곳이다.

b>파르티잔스크서 일본군에 맞서 활약
30년대 후반 스탈린 체제서 숙청당해 신영동, 동개터, 다우지미, 큰령 등 한인 정착촌이 발달한 파르티잔스크는 대한제국 패망과 러시아혁명을 거치며 연해주 한인 운동의 중심지로 떠오른 곳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조국을 빼앗긴 분노, 홍범도와 김경천 등 독립군 지도자들의 활동, 땅 없는 농민들의 처지 등이 이곳에 빨치산 운동의 불을 지폈다. 이 복판에 한창걸(1892~?)이 있다.

한창걸은 한-러 국경 근처인 연해주 하산의 빈농 가정에서 태어났다. 1915년 러시아군에 징집돼 독일 전선에 참전한 그는 군사학교를 거쳐 장교로 임관했다. 1918년 2월 제대해 신영동(현 니콜라예프카마을)에서 한인 최초의 농민소비에트를 만들었다. 그러나 극동에서의 혁명은 백군(반혁명군) 및 외국간섭군의 반격에 부닥쳤다. 특히 일본은 1918년 4월 이후 병력 7만여명을 극동과 북만주 일대에 깔아놓고 연해주 침탈에 나서기 시작했다.

한인 80여명으로 빨치산부대를 만든 한창걸은 러시아인들과 함께 백군과 일본군, 미군과의 싸움에서 전과를 냈다. 산이 많은 파르티잔스크는 유격전에 알맞았다. 하지만 한창걸부대는 1919년 4월 일본군과 백군이 진격해 오면서 희생자를 내고 퇴각했다. 그 해 11월 무기 지원 약속을 받고 백군 내부의 반란에 참가한 한창걸은 체포돼 일본군한테 넘겨져 고문에 시달렸다. 다음해 1월 빨치산부대의 블라디보스토크 진격으로 구출된 그는 파르티잔스크로 돌아와 부대를 재건하고 다시 싸움을 시작했다.

1920년 4월 일본군은 연해주 각지를 기습해 최재형 등 한인 지도자들을 포함해 한인과 러시아인 5천명을 살해하는 ‘4월 참변’을 일으켰다. 사상자를 내고 물러난 한창걸부대는 연해주를 떠돌며 싸움을 계속했는데, 한창걸은 1921년 1월 만주에서 연해주로 이동한 독립군이 주축이 된 임시군사위원회 군정위원으로 선임되기도 했다. 강국모가 이끄는 혈성단과 연합한 한창걸부대는 그 해 8월께 일본군 장교 출신인 김경천을 사령관으로 추대해 800명 규모의 부대와 사관학교를 만들었다. 김경천은 부대원들에게 “이국 땅에서 우리의 철천지 원수 일본군을 공격하고 조국의 자유와 독립을 달성하자”고 연설했다.

김경천과 한창걸은 파르티잔스크에서 일본군의 후원을 받는 중국인 마적단을 퇴치하며 농민들의 지지를 얻기도 했다.


이후 한창걸부대는 1922년 ‘올가만 해방 전투’ 등에서 연승하고, 일본군이 완전 철수해 그 해 10월 전쟁이 끝날 때까지 활약을 펼쳤다. 한창걸은 내전이 끝날 무렵 한인 빨치산 연합조직인 고려혁명군정청 위원에 선임됐다.



한창걸부대는 해산 뒤 ‘붉은 별’이라는 협동농장을 만들었고, 그는 1930년대에 하바로프스크 근처의 비로비잔 유대인 자치주 내무부장을 지내기도 했다. 하지만 그도 1930년 후반 스탈린 체제에서 숙청당했는데, 그 최후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다.

파르티잔스크의 니콜라예프카마을은 한인사회당 중심인물이자 코민테른 집행위원을 지낸 박진순의 고향이기도 하다. 스탈린 체제 이전까지 한인들이 논농사를 짓던 니콜라예프카는 이제 중앙아시아에서 돌아온 동포 10여가구가 섞여 사는 전형적인 러시아 농촌마을이 됐다. 파르티잔스크는 1970년대에 중국식 이름을 버리고 혁명에 몸바친 빨치산들을 기리는 이름을 얻었다. 현지 고려인협회 명예회장 김블라디미르(78)는 “파르티잔스크는 독립군 운동이 가장 활발했던 곳”이라며 “극동에서의 한인 운동사를 어린 세대들에게 가르치기 위한 책을 동포 학자들과 함께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파르티잔스크/이본영 기자 ebon@hani.co.kr


--------------------------------------------------------------------------------
1918~1922년 연해주의 투사들 한운용·박일리아… 러시아와 손잡고 일군 축출 몸던져 “1921~22년 연해주에서 소비에트 권력을 위해 목숨을 바친 러시아와 한인 빨치산들의 공동묘지.” 하바로프스크와 블라디보스토크를 잇는 시베리아횡단철도 노선상에 달네레첸스크라는 시골도시가 있다. 대다수 한국인들이 들어보지도 못했음직한 이곳의 역근처 숲에는 한인 45명과 러시아인 20명의 합장묘 겸 추모비(사진)가 방치돼 있다. 주변의 쓰레기와 감자밭이 그래도 가끔 사람이 지나는 곳임을 알려주고 있다.
비문이 가리키는 한인들은 대한의용군 3중대장 한운용과 그 휘하 1소대원들로 ‘이만(달네레첸스크의 당시 지명) 전투’의 희생자들이다. 이용이 사령관을 맡은 대한의용군은 만주에서 온 독립군들과 러시아 거주 한인들로 구성됐다. 러시아 적군()과 연합해, 일본군의 지원을 받는 백군과 싸우던 대한의용군 3중대는 1921년 12월 달네레첸스크 방어전에서 철도와 다리 경비를 맡았다. 불리한 전황 속에서 임무에 매달리던 1소대는 기병대에 포위돼 6시간의 총격전 및 육박전 끝에 2~3명을 빼놓고는 전멸했다. 한인사회당 군사위원 출신인 한운용은 소대원들을 구하러 갔다가 무장독립운동사상 가장 비극적인 사건의 주인공에 포함됐다. 이 전투의 상대편 전사자는 600여명으로 전해진다.

대한의용군 2중대장 출신의 김홍일은 훗날 회고록에서 3군데의 총상, 42군데의 총검자상을 입고 기적적으로 살아난 3중대 1소대장 최계립의 말을 빌려 그들의 비장한 최후를 전했다. “몸에 총탄을 맞고 또한 총검에 찔리어 자빠지면서도, 적의 기병대에 몸을 짓밟히면서도 그래도 목숨이 붙어 있는 한 적군을 쏘았다는 것이다.” 김홍일은 이어 “이렇듯 치열한 격전을 겪고 난 후부터 백군들은 껴레이스키 빨치산(한국 독립군) 하면 우선 그들은 죽어서도 총을 쏘는 그런 신비스러운 군대라면서 무서워했다는 것이다”라고 기록했다.

이처럼 극동시베리아의 한인들은 ‘남의 나라’ 혁명에 온몸을 바쳤다. 1920년 3월 박일리아가 이끄는 사할린대대는 러시아 빨치산들과 연합해 아무르강 하구의 니콜라예프스크에서 700여명의 일본군과 일본인들을 몰살시키기도 했다. 또 대한의용군, 고려혁명군, 혈성단, 다반군대, 솔밭관군대 등 많게는 30개에 이르는 한인 독립군 내지 빨치산 부대가 수많은 전투에서 활약했다.



한인들의 이런 활동은 당시 국제전적 성격을 보인 극동시베리아의 정세와 관련이 있다. 적군과 빨치산의 상대편에는 백군과 일본군, 체코군, 미군이 있었다. 일본군이 백군 편에서 연해주 침탈에 나섰다는 점은 한인들에게 다른 선택의 여지를 주지 않은 셈이다. 청산리전투 후 러시아로 이동한 독립군들에게 연해주의 일본군은 동포들을 집단학살한 ‘간도 참변’(1920년 가을)의 공범들로서 용서할 수 없는 존재이기도 했다. 사회주의 사상에 기운 국외 독립운동 세력의 판단도 적극적인 참여의 요인으로 작용했다.

무엇보다 조국 독립을 위한 길을 찾는 과정에서 나온 선택이라는 게 가장 포괄적인 설명이다. 신생 소비에트러시아 쪽도 “우리는 단결해야만 블라디보스토크와 조용한 아침의 나라에서 일본인들을 축출할 수 있다”(1919년 7월 ‘조선 노동자들에게 보내는 소비에트정부의 메시지’)거나 “당신들이 우리와 단결하지 못하는 한 자유를 얻지 못할 것”(1920년 연해주 빨치산 지도자 세르게이 라조의 한인 노동자집회 연설)이라며 연대를 호소하고 나섰다. 1920년 5월 좌우합작 성격을 띠던 대한민국임시정부는 모스크바에 한형권을 특사로 보내, 시베리아에서의 합동작전에 합의하고 ‘대일한로공수동맹’을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1918~22년 극동시베리아에서 한인 전사들의 구호는 ‘연해주를 해방시키고 조선으로 진격하자’였다.

먼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주세요.

창닫기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