洪 範 圖
홍범도 장군 이야기
봉오동전투
1920년 만주 봉오동에서
독립군부대가 일본 정규군을 대패시킨 전투
"1920년 6월4일 독립군 홍범도.최진동부대의 1개소대가 북간도 화룡현 월신강 삼둔자를 출발하여 두만강을 건너와 함경북도 종성군 강양동에 주둔하고 있던 1개소대 규모의 일본군 헌병 국경초소를 습격, 격파하였다."
당시 일본군은 독립군의 국내 진입전과 대안의 활발한 독립군 활동에 대단한 관심을 가지고 방비책을 강구하고 있었기에, 강양동의 전투는 대전투의 도화선이 되었다. 급보를 받은 일본군 남양수비대는 1개 중대를 출동시켜 반격전을 전개해왔다. 독립군사령부는 1개소대를 삼둔자 서남쪽 봉화리에 매복시키고, 약간의 병력으로 총격전을 벌이면서 일본군을 유도하였다. 일본군은 잠복해 있는 독립군부대 앞까지 추격해왔다. 독립군은 100m 고지에서 일제히 사격을 퍼부어 60명을 사살하였는데, 독립군은 2명이 전사하고 재류동포 9명이 유탄에 맞아 사망하였다.
홍범도·최진동 등 독립군 수뇌부에서는 열세한 병력으로 우세한 적과 대결하려면 작전상 요지를 점령하는 것이 득책이라 판단하고, 북편으로 퇴각하여 안산촌락 후방고지에서 수세를 취하였다. 6월 7일 새벽 야스카와부대가 전방 300m의 텅빈 안산촌락으로 돌입할 때에 잠복 중이던 독립군이 일제히 총격을 가하였다.
야스카와부대는 니히미중대와 합세하여 응전하였으나 지리적 악조건과 불의의 기습을 받아 상당한 타격을 받았다. 다시 대오를 정비한 야스카와부대는 야마자키중대를 주력으로 독립군을 추격하였다. 야스카와부대가 고려령 서방에 도착하였을 때 북방 및 동북방 고지에서 매복하고 있던 독립군의 치열한 사격을 받은 일본군은 소수의 독립군에게 참패를 당하였다. 안산과 고려령 두 전투에서 120명의 전사자를 낸 뒤에도 거듭 독립군의 유도작전에 말려들어 봉오동으로 유인되었다. 봉오동전투는 삼둔자 부근 전투에 이어 전개되었다.
봉오동은 두만강에서 40리 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고려령의 험준한 사줄기가 사방을 병풍처럼 둘러쳐진 장장 수 십리를 뻗은 계곡지대이다. 봉오동에는 100여 호의 민가가 흩어져 있었는데 독립군 근거지의 하나로서 최진동의 가족들이 살고 있었다. 이들 민가는 상촌(북촌)·중촌(남촌)·하촌 등 3개 부락에 흩어져 있었으며, 상촌은 봉오동을 대표하는 곳으로 독립군의 훈련장이 있었다. 독립군은 6월 7일 아침부터 일본군의 침입에 대비하여 홍범도와 최진동의 연합부대를 새로 재편성하였다.
치열했던 전적지가
지금은 저수지로 변하였다.
1·2·3·4 중대의 각 책임자로 이천오.강상모 강시범 조권식을 정하였으며 별개로 2개 중대를 두었다.
안무는 사령부부관으로, 이원은 연대부장교로, 최진동을 사령관으로 홍범도를 연대장으로 정하였으나 이는 형식에 불과하고 실제로 봉오동전투를 승리로 이끈 것은 홍범도장군이었다. 작전진행은 다음과 같다. 제1중대는 상촌서북단에, 제2중대는 동쪽 고지에, 제3중대는 북쪽고지에, 제4중대는 서산남단 밀림 속에 매복하고, 연대장 홍범도는 직접 2개 중대를 인솔하고 서남산 중턱에 위치하여 일본군의 선봉이 봉오동 어구를 통과하도록 유도하여, 일본군 주력부대가 독립군이 잠복한 포위망 중에 들어설 즈음에 일제히 사격을 단행하도록 하였다.
일본군은 독립군의 작전계획대로 봉오동 상촌 독립군 700명이 잠복해 있는 포위망 가운데로 들어왔다. 홍범도장군의 명령에 따라 동·서·북 3면에서 일본군을 협공하니 일본군은 갈팡질팡하면서 쓰러졌다. 오후 3시 소좌 야스카와는 가미야중대와 나카니시소대를 지휘하여 동쪽고지에 매복한 강상모중대를 향하여 반격을 시도하였으나, 강상모중대는 이를 격퇴하여 100여명을 사살하였다. 여기서 일본군은 온성 유원진으로 패주하였다.
봉오동 전투의 전과와 의의
이 압도적인 전승의 원인은 독립군의 앙양된 사기와 지휘관의 예지, 지리적 요지를 선용한 뛰어난 작전계획이었습니다. 봉오동전투는 홍범도·최진동 부대가 일본군 정규군을 대패시킨 전투로 독립군의사기를 크게 진작시킨, 항일 무장독립 운동사에 빛나는 전과의 하나입니다.
또 우리민족에게 자신감을 안겨준 승리 이기도 합니다.